LTE란 LONG TERM EVOLUTION
최저: 100 Mbps ~ 최대속도 1 Gbps로 지연시간 10ms를 가집니다.
곧 저속 이동시 1Gbps, 고속 이동시 100 Mbps의 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실 생활에서의 인터넷 다운로드 속도는 보통 75Mbps라고 하는데 체감상 더 낮은 것 같습니다.
LTE-A, 공대역 LTE-A
LTE-A의 핵심은 주파수 대역폭 10 MHz 대역폭을 20 MHz로 늘리는 기술입니다.
이로 인해 전송 속도도 2배 빨라집니다.
LTE-A의 최대 다운로드 전송속도는 150 Mbps입니다.
3 밴드 LTE -A
기존 LTE-A에서 대역폭을 40 Mhz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이론상 다운로드 전송속도는 300Mbps입니다.
현재 LTE망은 3밴드 LTE-A입니다.
하지만 프리미엄 스마폰을 이용해도 300Mbps는 거의 힘들고 75 Mbps 정도라고 하네요.
5G란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인터넷 최대 속도가 20Gb에 달하는 기술로 지연시간 1ms를 가집니다. 4G LTE에 비해 20배 빠릅니다.
5G가 상용화 됨에 따라 초저지연 성과 초연결성을 통해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인 가상현실, 자율주행, 사물인터넷 기술이 구현 가능하다.
위에서 열거된 사항 뿐만아니라 추가로 기대되는 부분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게임 분야입니다.
MS, 아마존에서 클라우드에 투자를 많이 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는 클라우드 서비스 대여 개념이 보편화될 것 같습니다.
3 밴드 LTE-A 망과 5G 망의 속도 차이는 얼마나 날까요?
20배 차이라고 광고를 하니 꽤 빠를 것 같은데요
체감상 약 10배이상 빠르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4G 체감 전송속도: 10 Mbps
5G 체감 전송속도: 100 Mbps 이상
생각보다 빠르게 느껴지지 않는 이유는 아직 5G 망의 커버리지 문제와 아직 5G 기술이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고 보입니다.
최근 기사에 미국에서 초고주파를 사용하는 밀리미터파 28 Ghz대역 5G 상용망 접속 성공률이 3%대로 너무 낮다고 합니다.
https://www.etnews.com/20200318000183
기사 내용을 보니 확실히 28 Ghz대역이 속도는 잘 나와 주는 것 같은데요.
28Ghz 대역의 접속성공률을 높여주는 것이 관건일 것 같고 그게 곧 기술력이 되겠네요.
우리나라는 현재 3.5 Ghz대역과 28 Ghz대역 두 가지로 5G 서비스를 진행하는 것 같습니다.
현재로는 3.5 Ghz를 주로 사용 중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5G 기술의 도입으로 4차 산업혁명이 더욱 빨리 다가올 것 같습니다.
AR, VR, IOT, AI, 자율주행,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등이 있습니다.
현재 5G 커버리지를 보시면 4G 망은 전국을 뒤덮었는데 5G는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입니다.
LTE-A 망을 5G 망으로 바꾸면 금방 커버리지가 늘어날 수도 있겠죠?
하지만 3.5기가 이하의 망은 커버리지는 좋지만 속도 측면에서 손해가 있어 보입니다.
결국 28 Ghz 기술을 어떻게 상용화시킬지 지켜봐야겠습니다.
통신사별 5G 커버리지 확인
SKT 커버리지 맵
https://sktcoverage.com/map?TYPE=FIVEG
SKT 5G
SK LTE
KT 커버리지 맵
https://nqi.kt.com/KTCVRG/coverage
KT 5G
KT LTE
U+ 커버리지 맵
http://www.uplus.co.kr/css/iner/RetrieveCoverMapNoneSSL.hpi
U+ 5G
5G 커버리지는 3사 통신사 모두 비슷해 보입니다.
이상 간략 포스팅이었습니다.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벅스 노트북 텀블러 가방 구매 후기 (0) | 2020.03.25 |
---|---|
영어공부 어떻게 해야하나요? (0) | 2020.03.24 |
아이폰 11 Pro 원 테이크 4K 영상 화제 (0) | 2020.03.20 |
2020년 우리 집 예상 종부세 확인하기 (0) | 2020.03.20 |
스타벅스 컬러체인지 리유저블 컵 구매 도전기 (0) | 2020.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