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어떻게 영어공부를 하고 계시나요?
초등학교부터 영어를 접하고 지금까지 영어를 사용하며 지내긴 하지만
저는 영어를 지금도 잘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영어공부를 했길래...??
하나하나 되짚어 봅니다.
초등학교: 윤선생 영어교실
중학교: 영어 학원 및 과외
고등학교: 필리핀 연수 한 달, 자습
대학교: 공부 안함; 토익공부 시작
직장인: 필요할때 구글 검색 번역기 사용
몇십 년을 영어 공부를 했지만 스펠링이 기억이 나지 않거나 틀릴 때가 많습니다.
부끄러운 일입니다.
하지만 부끄러워 하지 않아야 합니다.
모국어가 아니기 때문이죠.
완벽하면 좋겠지만, 완벽하려고 할수록 영어와 멀어지는 경우가 많거든요.
국어를 못하면 영어도 못한다??
영향은 있을 것 같지만 가끔은 영어로 표현한 문장이 한글보다 명확하게 표현된다는 느낌을 가지게 됩니다.
주어, 동사, 목적어에 대한 완전한 문장을 생각하며 말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한국말 할때 간혹 주어나 목적어를 빼고 말하는 경우가 있어서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어를 잘하지 못해도 영어를 잘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1. 영어를 잘하기 위한 필수요소
영어에 대한 관심, 좋아함, 재미가 필요합니다.
저는 영어를 잘 하지 못하지만 영어를 좋아합니다.
2. 영어 공부를 하는데 시작할 때 가장 중요한 Point!
영어를 많이 열심히 들어라 입니다.
아랍 영어, 일본 영어, 인도 영어, 필리핀 영어 등 모국어가 아닌 국가에서 사용하는 영어도 많이 들어주세요.
영어를 많이듣다보면 각 나라마다 억양 차이가 느껴지고 적응이 되면서 조금씩 들리게 됩니다.
영어 공부를 왜할까요? 전 세계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수단 아닌가요?
듣보잡 영어라고 무시하지 않아야 하며, 영어는 내가 적응한 만큼 그리고 아는 만큼 들립니다.
어릴 적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순서로 언어를 습득하죠?
그래서 듣기가 가장 중요합니다.
3. 듣고나서 말하기 연습을 같이 하세요.
듣고나서는 따라 말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아기가 언어를 배울 때 엄마의 말을 따라 하는 것처럼, 옹알이를 한다고 생각하며 따라 합니다.
무엇을 듣고 따라해야할까요?
미드, 영드를 접하기 쉬운 넷플릭스를 통한 영어 공부
TED 강의
팝송 듣기
토익 리스닝 연습 (part 2 ~ part 4)
열심히 들으면서 단어 공부를 합니다.
단어를 많이 알수록 고급 영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되겠죠?
3. 작문하는 법
말하는 대로 작문을 하게 됩니다.
머릿속에서 말하면 그걸 글로 적게 되는 것처럼요.
문법을 생각하기보다는 영어 어순대로 말하는 연습을 해줍니다.
한국어를 영어로 바꾸려고 하지 마세요.
영어단어 자체를 이미지화해 주는 게 영어와 친숙해지는데 도움이 됩니다.
주변 사물을 보고 한국어를 생각하고 영어를 생각하기보다 바로 이미지가 영어로 튀어나오는 게 중요합니다.
4. 문장 패턴을 통째로 외우세요.
패턴을 공부해 두시면 대화를 하거나 영작할 때 많은 도움이 됩니다.
패턴을 가지고 자신만의 영작을 해봅니다.
I'm going to ~
I'm about to ~
Could you?
It's time for~
I hope you to ~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책들입니다.
패턴 영어 공부를 강추드립니다.
영어회화 핵심패턴 233
COUPANG
www.coupang.com
영어패턴 500 플러스 : 말문이 터지는 영어회화 공식
COUPANG
www.coupang.com
결론:
위와 같이 공부하면 영어를 모국어처럼 잘한다고 장담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일상생활, 비즈니스 영어 정도는 구사할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모두들 하는 똑같은 말 반복을 한 것 같습니다.
"영어는 반복이며 꾸준히 해서 끝까지 살아남는 사람이 이기는 것입니다. "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다우지수 급 폭등! 11.37프로 폭등과 장전 시간외 거래 시간 (0) | 2020.03.25 |
---|---|
스타벅스 노트북 텀블러 가방 구매 후기 (0) | 2020.03.25 |
LTE망과 5G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0.03.23 |
아이폰 11 Pro 원 테이크 4K 영상 화제 (0) | 2020.03.20 |
2020년 우리 집 예상 종부세 확인하기 (0) | 2020.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