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끄적끄적

(ONEAVIEW) 레이드라이브(raidrive) 클라우드 폴더 연결로 업무 효율 높이기

반응형

오늘은 raidrive에 대해 소개해 보고자 합니다. 

헤놀로지를 사용하면서 원격으로 헤놀로지를 폴더처럼 사용할수 없는지 궁금해하다가 

지인 소개로 인해 알게된 프로그램입니다. 

raidrive는 무료로 배포되는 프로그램으로 기업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사용범위: 프리 - 개인/기업, 국내/국외

"NAS, 공유기, 구글 드라이브, 구글 팀드라이브, 구글 포토, 원드라이브, 드롭박스를 파일 탐색기의 네트워크 드라이브 처럼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웹포탈 검색창에서 raidrive를 검색하셔서 raidrive.com으로 접속하시면 아래와 같은 웹페이지를 볼수 있어요. 

다운로드 받을 사이트를 선택하셔서 다운받고 설치해줍니다. 

 

따로 로그인을 하지 않도고 사용이 가능한게 장점입니다. 

 

 

 

1. 추가를 눌러준다. 

2. 설정을 해봅니다. 

2-1) 웹상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구글드라이브, 원드라이브, 드랍박스, 구글포토 등) 설정이 가능함. 

2-2) 개인용 SFTP, FTP, Synology등 쉽게 연결 가능

 

 

* 간단하고 많이 사용하는 구글 드라이브를 연결해 보겠습니다. 

아래 화면에서 구글 드라이브를 선택하신후 확인을 눌러줍니다. 

 

 

아래와 같이 뱅글뱅글 돌다가 로그인 화면이 뜹니다. 

 

 

계정을 선택 하시고 권한을 부여해 주면 끝입니다.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면 연결이 되면서 구글드라이브 폴더가 열립니다. 

 

다음과 같이 Google Drive (Y:)가 파일탐색기에 보이게 됩니다.  

구글 포토가 약 7기가를 차지하고 있지만 구글드라이브에서는 구글 포토를 제외한 파일을 보여줍니다. 

15기가중 8.52기가가 사용가능하네요. 

 

폴더에서 바로 접근 가능한 점이 너무 편한 것 같습니다. 

드래그앤 드롭으로 파일 이동 복사도 쉽게 가능합니다! 

 

무료에 업무의 편의성을 따지면 안 쓸 이유가 없겠네요! 

 

동일한 방법으로 Google Photo도 연결해 보았습니다. 

구글 포토의 경우 3개의 폴더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hotos 폴더에는 recent 폴더와  View All Photos가 있는데 용량이 많아서 인지 파일 불러오는데 시간이 소요가 됩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웹상의 드라이브를 내컴퓨터 폴더에 간단히 붙여 보았습니다. 

 

오늘부터 레이드라이브(Raidrive)를 활용해보시는건 어떨까요? 

반응형